Video—http://youtu.be/9S1PndkXz7o
“모두가 살려면,
6명의 희생자가 대신해 책임지라,
죽음으로써.”
14C 영국군에게 장기간의 전쟁끝에 포위당한 프랑스 칼레. 영국의 왕 에드워드 3세는 칼레시의 모든 시민의 죽음을 대신 할 대표 여섯 명의 희생자를 처형하라 이른다. 시민 전부의 죽음은 면하였으나 희생을 대신 할 여섯 명을 뽑아야하는 혼란에 빠진 칼레시의 시민들. 이에 칼레시에서 가장 부유했던 ‘외스타슈 드 생 피에르(Eustache de Saint Pierre) 가 죽음을 자처하고 나선다. 그 뒤로 고위관료, 상류층 등이 직접 나서서 영국의 요구대로 여섯 명의 희생자가 목에 밧줄을 매고 자루옷을 입고 나오게 된다. 절망 속에서 꼼짝없이 죽을 운명이었던 이들 여섯 명은 당시 영국의 왕비였던 에노의 필리파 (Philippa of Hainault)가 이들을 처형한다면 임신 중인 아이에게 불길한 일이 닥칠 것이라고 왕을 설득하여 극적으로 풀려나게 된다. 결국 이들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인해 모든 칼레의 시민들은 목숨을 건지게 되었고, 이를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상류층으로서 누리던 기득권에 대한 , 높은 신분에 따른 도덕성의 의무’란 의미로 지칭하게 되었다.
21c 현재.. 당신은 귀족의 삶을 살고있는가?
그렇다면, Noblesse Oblige의 정신은 이어가고 있는가?
이 작품을 로댕의 칼레의 시민을 바탕으로 2012년 장지연과 로댕과 콜라보레이트를 꾀했다. 칼레의 시민은 프랑스 칼레의 여섯 귀족의 이야기다. 그들은 귀족의 정신을 지켰으며, 그 희생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을 살려낼 수 있었다. 나의 Noblesse Oblige 2012는 현대 사회 속 기득권 층에게 그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재조명을 꾀한다. 소위 말해 현대 사회의 귀족이라 지칭되는 자들에게 Noblesse Oblige의 정신이 어떠한 것인지 다시금 깨닫게 하며, 잃어버리고 있었던 그 순수한 정신을 되찾고, 진정한 귀족 정신을 보이기 원한다.
작품은 당당히 죽음을 맞이하러 나온 대표 귀족들이 시간이 흐를 수록, 점차 희생을 망설이며, 서로의 눈치를 보고 하나 둘 뒤돌아 외면하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중간 지점에서 점점 명품 패턴의 옷이 드러나며 현대의 귀족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결코 명품을 비하하는 의미가 아니다. 작가 본인 또한 명품을 좋아한다. 명품은 장인들의 각고의 노력을 더한 손길을 거쳐 탄생한다.그 하나 하나 제품안에 이야기와 정신이 있다. 이는 작품을 만드는 작가로써 지극히 공감할 수 있는 현상이며 그로 인해 나는 명품을 좋아하고, 그들을 존경한다. 하지만, 명품을 잘못 알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회유를 권하다.
유행이 지나 더이상 가치가 없다는 것, 누가 들었기에 나도 사야하고, 내 권위가 세워지고 내 지위를 표현해 준다는 식의 가볍고 지극히 어리숙한 뜻의 행동을 삼가하길 원한다. 작품 속 명품의 의미는 후자 쪽을 겨냥한 것이다.
나는 이 작품으로 인해 많이 이들에게 회유적 지침을 원한다. 비난을 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지금 현재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며, 이 세상 안에 일원으로써 어떻게 사는 것이, 생각하는 것이 마음 먹는 것이 올바른 가치관을 갖는 것인지 생각하길 바란다.
The story goes that England’s Edward III, after a victory in the Battle of Crécy, laid siege to Calais, while Philip VI of France ordered the city to hold out at all costs. Philip failed to lift the siege, and starvation eventually forced the city to parley for surrender.
Edward offered to spare the people of the city if any six of its top leaders would surrender themselves to him, presumably to be executed. Edward demanded that they walk out almost naked, wearing nooses around their necks, and carrying the keys to the city and castle. One of the wealthiest of the town leaders, Eustache de Saint Pierre, volunteered first, and five other burghers soon followed suit, stripping down to their breeches. Saint Pierre led this envoy of emaciated volunteers to the city gates. It was this moment, and this poignant mix of defeat, heroic self-sacrifice, and willingness to face imminent death that Rodin captured in his sculpture, scaled somewhat larger than life.
In history, though the burghers expected to be executed, their lives were spared by the intervention of England’s Queen, Philippa of Hainault, who persuaded her husband to exercise mercy by claiming that their deaths would be a bad omen for her unborn child.
Noblesse Oblige 2012, the artist uses her choice of subject matter and title to bring this phrase into consideration in modern times, asking how these words would be understood nowadays and if they still have any relevance.
This piece is made with the basis of ‘citizens of Calais’ Rodin to collaborate with present artist Ji Yeon Jang .
The’ citizens of Calais’ is story of six riches from France Calais. They defended rich’s spiritual that rescued thousands of citizens with their own sacrifice.
My Noblesse Oblige 2012 asks for reinterpretation and re-illumination of it’s meaning from contemporary people who have the vested rights.
In other words, I want those who called as contemporary society’s rich people to realize the spiritual of Noblesse Oblige. Also, I would like to see them with real rich spirit and want them to find lost pure mind.
This piece opens up with the rich representatives who walk in front to receive death. But as time goes by, they struggle their sacrifice, walking on eggshells and turn away from death.
In the middle, the clothes with luxury brand’s logo turn out to show the contemporary rich people. This is not meant to belittle the luxury brands. The artist I, personally also likes these brands. Usually these luxury brands are born with master artisan’s hands of efforts. Each of product contains it’s story and spirit.
As so, I like these brands and respect them since I’m also one of a kind who makes the pieces. However, I ask contemporary man to conciliate towards these luxury brands who has wrong ideas.
They believe there is no value to products that are over popular. They buy those brand’s items since other people have it. Also, they think those items express their position and authority. I want these people to avoid those young minds and actions towards luxury brands. The luxury brand’s meaning in the piece means the latter one.
I recommend conciliation to a lot of contemporary people through this piece. I am not willing a criticism.
Nonetheless, I want you to think of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now, how to live well as one of contemporary man in this society and to find believing and trusting what you think gives a right value to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