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STATEMENT

 In her large-scale video installations, new media artist Daphne Jiyeon Jang uses 3D animation, video projection and spatial mapping, to bring new meaning to classical sculptures. Using self-generated 3D models Jang hopes to ‘unfreeze’ the fixed identity and meaning of historical works, by reanimating these classical artefacts in the present. Constructing a virtual space within which classical sculptures are able to move and gesture, Jang’s ‘moving sculptures’, are designed to unravel the frozen time of antiquity and hint at hidden narrative meanings in the past, that still reverberates in the present.  Jang’s hope is that the works will possess an emotional power that will engage the viewer, inviting them to reconsider the nature of the past and the relevance and importance of classical, mythic stories and tales in contemporary culture.

The meaning of Jang ji-yeon’s artwork lies in the context of unique way of glaring human body. As Michael Talbot wrote in the “holographic universe”, our body is just a medium where we can meet the world, not our possession. Jang ji-yeon shows the moment of switch, from when we merely ‘see’ the summation of reality, to the moment when we actually can ‘feel’ it.

– Cho kwan Yong (Art Critic)

건물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조각상 인 카리아티드(Caryatids)와 아틀란티스(Atlantes)는 종종 장지연의 작품에 등장한다. 그들의 존재성은 잊혀 질 수 있지만, 그들의 영원 불멸 형태의 물질성은 사실상 수세기 동안 도시의 무게를 견뎌내고 있다. 장지연은 계층, 계급 및 배타성, 인간 본연의 감정과 사건들을 “움직이는 조각” 으로 풀어낸다. 

그녀의 작업은 일상을 살아가면서 익숙하게 느끼는 신체를 새로운 시선에서 바라보며, 인간의 감성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그 탐구의 영역은 유기적 신체를 넘어선 네러티브가 담긴 조각상으로 이어진다. 그녀는 과거에 갇혀있는 조각상 들을 현재로 상상력 있게 연결함으로써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현존하고 있는 조각상 들에 숨결을 불어넣는다. 장지연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고대의 얼어 붙은 시간을 풀고 과거와 현재의 잔향이 숨겨져 있는 이야기의 의미를 암시하도록 작업한다. 그녀는 작품이 과거의 본질과 현대 문화의 고전, 신화 이야기 및 내려져오는 역사와 현대의 사회적 또는 현대인의 삶의 관련성과 중요성을 투영하고 재고하며 사색하기를 기대한다.

대규모 미디어 공간 맵핑, 설치를 하는 뉴미디어 아티스트 장지연은 3D 애니메이션, 미디어 프로젝션 및 공간과 환경 속 서사적 맵핑을 통해 고전 조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자체 제작하는 3D 모델링을 사용하여 현재의 고전 조각을 애니메이션 함으로써 역사적 작품의 고정 된 정체성과 의미를 ‘고정 해제’하기를 희망한다. 장지연의“움직이는 조각”은 고전 조각이 움직일 수 있는 가상 공간을 구축하고, 경험적 프로젝션, 즉, 어포던스 (Affordance)에 의거한 비 접촉 신체적 경험의 가상과 현실 사이의 미디어 아트를 그려낸다. 최근 작업에서는 자체 모델링으로만 제작되던 조각을 스캐닝(Scanning) 기법을 통한 재 제작하는 과정을 더해 장지연 고유의 스킬과 스펙트럼을 더욱 넓혀가고 있다.